본문 바로가기

java,jsp,spring/java

(20)
java 기초 (4) 조건문 상황별 실행 흐름을 만드는 문법 if 문 조건에 따른 수행 여부를 결정 if (조건식) { 조건식이 참인 경우 수행할 내용 } if-else 문 두 조건식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 if (조건식) { 조건식이 참인 경우 수행할 내용 } else { 조건식이 거짓인 경우 수행할 내용 } else-if 문 추가 조건을 붙여야 할 때 사용, 수행은 윗 줄에서부터 차례로 진행 if (조건식 A) { 조건식 A가 참인 경우 수행할 내용 } else if (조건식 B){ 조건식 B가 참인 경우 수행할 내용(조건식 A는 거짓) } else { 그 외인 경우 수행할 내용(조건식 A,B는 거짓) }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NestedIf { public static..
java 기초 (3) 메소드 입력 값에 따른 결과를 반환하는 일련의 코드 묶음 동작 원리 호출부 : 메소드를 사용하는 영역, 입력 값을 전달하여 그 결과를 돌려받는 코드 정의부 : 입력값을 받아 결과를 만드는 일련의 코드 묶음 구조 메소드명 : 메소드의 이름, 호출 시 사용 입력 변수 : 메소드 실행 시 입력 값을 저장하는 변수(=매개변수, 파라미터, argument) 반환 값 : 메소드의 최종 결과로 반환될 값을 의미 반환 타입 : 반환 값의 타입을 의미 (return 값이 있으면 type에 void는 올 수 없다) 정의하기 정수를 입력 받아 그 제곱 값을 반환하는 메소드 만들기 메소드명 작성 > 입력 변수 생성 > 반환 값 생성 > 반환 타입 명시 호출하기 메소드명을 적고, 소괄호 사이에 입력 값을 전달하여 사용 예시 M..
java 기초 (2) 리터럴(literal) 변수의 값 int apple = 5; // 리터럴 : 5 int apple; apple = 5; long count = 10000L; // long 타입을 표현하기 위해 L을 붙임 float f1 = 2.3F; // float 타입을 표현하기 위해 F를 붙임 double d1 = 5.6D; // double 타입을 표현하기 위해 D를 붙임 정수 리터럴 15 // 10진수 015 // 8진수 - 0 으로 시작 0x15 // 16진수 - 0x / 0X 로 시작 0b0101 // 2진수 - 0b / 0B 로 시작 실수 리터럴 double d = 0.1234; double e = 1234E-4; float f = 0.1234f; 논리 리터럴 boolean a = true; boolean ..
java 기초 (1) 자바란? 사람(자연어)의 명령을 컴퓨터(기계어)가 이해할 수 있게 코드를 통해 명령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 > 소스 파일 작성 > 컴파일(compile) > 기계어로 변환 > 실행 자연어 :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 기계어 : 0과 1로 구성된 이진 언어 모든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하며,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OP : Object-Oriented Programming)이다. 객체 지향 언어: 객체(Object)를 조합하여 전체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법, 간단하게 조립식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 메모리가 자동 정리되며, 라이브러리(자료)가 풍부하다. 객체(Object) 속성(attribute) : 객체 안에 포함된 변수(정보) 메소드(method) : 객체 안에 포함된 함수(행동) 컴파일 ..